Search

[연구소식] 인천대 해양학과 도성덕 연구원, 단쇄염화파라핀이 해양어류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최초 발견

이재성 교수와 도성덕 석사과정생
인천대학교 해양학과 도성덕 석사과정생의 단쇄염화파라핀이 해양어류에 미치는 영향 평가 연구가 환경 분야 최상위 국제학술지에 게재되었다. 도 연구원은 바다송사리를 대상으로 단쇄염화파라핀의 신경계 독성을 규명했으며, 이는 해당 물질의 해양 척추동물에 대한 최초의 위해성 평가 연구로 평가된다. 이번 성과는 단쇄염화파라핀 관리 및 규제 정책 마련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대학교는 해양학과 도성덕 석사과정생(지도교수 이재성)의 단쇄염화파라핀이 해양어류에 미치는 영향 평가 관련 논문이 환경 분야 내 최상위 국제전문학술지에 게재됐다고 4일 밝혔다.
도성덕 연구원은 바다송사리를 대상으로 산업 전반에서 난연제, 플라스틱 첨가물 등으로 사용되는 단쇄염화파라핀에 대한 광범위한 영향 평가를 실시했으며, 단쇄염쇄화파라핀이 해양어류 신경계에 대해 큰 독성을 일으키는 사실을 발견했다.
도성덕 연구원은 “단쇄염화파라핀은 엄격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필수적 사용에 의해 여전히 전 세계 해양에서 광범위하게 검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써 식탁에 오르는 해양생물에서도 검출되고 있다”며 “단쇄염화파라핀이 해양 척추동물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밝혀지지 않았기에 그에 대한 위해성 평가는 매우 중요하며,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독성 기작과 근본적인 원인을 규명한 최초의 연구였다”고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한 어류에 대한 단쇄염화파라핀의 독성 및 작용 기전에 대한 정보 제공은 향후 단쇄염화파라핀의 효과적인 관리 전략 수립과 규제 조치 마련에 대한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JCR(저널 인용 보고서) 환경 분야 상위 3% 내 Elsevier 학술지인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IF: 12.2)”에 게재되었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가 시행하고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추진하는 “해양 환경 내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관리 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주도적으로 수행되었다.
Graphical abstract
Graphical abstract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21999)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27(송도동) INU이노베이션센터 206호
본 메일은 마케팅 활용 동의서에 동의하신 회원님께 전송된 것입니다.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발송되는 메일을 더 이상 받아보기 원하지 않으시면, [수신거부]를 클릭해주세요.
COPYRIGHT (c) 2023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