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꿀벌의 16개 염색체에서 유전자 밀도, 반복서열, 중심절 및 말단서열의 위치를 시각화한 유전체 지도
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 권형욱 교수 연구팀의 박사과정 이정현 학생이 한국 토종꿀벌(Apis cerana koreana) 유전체를 염색체 수준까지 완성한 연구 결과를 Scientific Reports(IF 3.9) 7월호에 게재하였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 아시아 꿀벌 유전체 초안을 최신 시퀀싱 기술로 고도화해 총 16개 염색체의 고품질 유전체 지도를 구축하고, 토종벌의 독립된 유전 계통을 입증하였다. 연구 성과는 품종 구분, 병 저항성 품종 선발, 디지털 육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며, 토종 유전자원 보존과 양봉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현 학생(박사과정)
우리 대학 권형욱 교수(생명과학부, 매개체감염병연구소) 연구팀의 박사 과정 이정현 학생은 Nature 그룹의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 (논문영향력지수: 3.9) 7월호에 토종꿀벌 유전체 관련 논문을 게재하였다.
본 연구는 지난 2015년 국내 최초로 발표된 아시아 꿀벌의 유전체 초안을 바탕으로, 최신 시퀀싱 기술을 접목해 한국 토종꿀벌(Apis cerana koreana)의 유전체를 염색체 수준까지 정밀하게 완성한 것이다.
그 결과, 총 16개의 염색체를 포함한 고품질 유전체 지도가 구축되었으며, 토종벌의 독립된 유전 계통을 유전체 수준에서 입증하였다. 이는 꿀벌 품종의 과학적 구분, 병 저항성 품종 선발, 디지털 육종 기반 마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토종 유전자원의 보존과 꿀벌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성과이며, 향후 기후변화 대응 및 고부가가치 양봉자원 개발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토종꿀벌(Apis cerana koreana)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21999)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27(송도동) INU이노베이션센터 206호
본 메일은 마케팅 활용 동의서에 동의하신 회원님께 전송된 것입니다.
COPYRIGHT (c) 2023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