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공원사막지수를 통한 도시 녹지 공간 접근성 개선

요약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시 공원과 녹지 공간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공원사막지수를 산출하여 도시 내 공원 및 녹지 공간의 접근성과 사회적 형평성을 평가하고, 기계학습을 활용한 자동 계산 및 시각화를 통해 문제 지역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기술은 도시 계획가와 정책 결정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지역사회 참여를 촉진하여 모든 지역 사회 구성원이 공원을 공평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기본 정보

특허명: 포용적 도시공원계획을 위한 기계학습 기반의 공원사막지수 산출방법 및 산출장치
대표 발명자: 김현우 교수
출원번호: 10-2023-0188368

발명의 배경 및 필요성

도시화와 녹지 공간의 중요성

전 세계적인 도시화 진행으로 도시 공원과 녹지 공간이 감소하는 현상이 일반적임
유엔(UN)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세계 인구의 약 55%가 도시에 거주하며, 이 비율이 2050년까지 68%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녹지 공간은 열섬 효과 완화, 공기 질 개선, 생물 다양성 증진 등 환경적 이점을 제공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
특히 저소득층 지역에서 도시 공원과 녹지 공간의 불평등한 배치는 심각한 문제임

기술적 접근의 필요성

기존의 토지적성평가시스템 등 기술적 접근 방식은 도시 공원의 접근성과 공평한 분포 평가에 한계가 있음
지리정보시스템(GIS),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함
이러한 기술적 접근 방식은 도시 공원과 녹지 공간의 배치를 최적화하고, 모든 지역 사회 구성원이 공원을 공평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시 계획에 반영하는 데 중요함
새로운 기술적 접근을 통해 도시민이 녹지 공간을 쉽게 접근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

구현방법

기술 개요

도시 내 공원 및 녹지 접근성, 사회적 형평성, 토지 이용을 평가하여 공원사막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공원 접근성 문제를 파악하여 개선함

구현 절차

공원 접근성 점수 산출: 걸어서 또는 대중교통으로 공원에 도달하는 용이성 평가
사회적 형평성 점수 산출: 지역 내 인구 구성과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여 공원 이용의 공평성 평가
토지 이용 점수 산출: 지역의 토지 피복 상태 분석을 통한 산림 지역, 호수 등 내륙수 지역 비율 평가
공원사막지수 산출: 위 세 점수를 종합하여 최종 공원사막지수 도출
기계학습을 활용한 점수 자동 계산 및 결과 시각화로, 지도 상에 공원 사막 지수의 높고 낮음을 색상으로 구분하여 표시

기술의 효과

도시 계획가 및 정책 결정자에게 공원 및 녹지의 접근성과 분포 개선을 위한 정보 제공
공원 이용의 사회적 형평성 증진
시각화를 통해 문제 지역 식별을 용이하게 함

도시 공원의 접근성과 사회적 형평성 개선을 위한 발명의 활용 방안 및 기대효과

공원 접근성 개선 방안

도시 계획자와 정책 입안자는 공원사막지수를 활용해 공원 접근성이 낮은 지역을 식별하고, 해당 지역에 녹지 공간과 공원을 확대할 수 있음
보행자 친화적이거나 대중교통 접근성이 우수한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공원 설계와 개발을 진행함
지역사회 참여를 촉진하는 플랫폼과 도구를 개발해 시민들이 공원과 녹지 공간 확대를 위한 의견을 제시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기대되는 효과

공원사막지수와 정밀한 접근성 평가 방법을 통해 모든 지역의 주민들이 공원과 녹지 공간에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됨
도시 개발과 공원 계획의 효율성 증대로 건강하고 활기찬 도시 환경 조성에 기여함
지역사회 참여 활성화로 주민들이 자신의 지역 내 공원과 녹지 공간 확대를 위해 직접 참여하고 옹호함으로써 사회적 형평성 강화됨

시장 동향

도시 계획 시장 동향

환경 시장 동향

기술 SWOT 분석

Strengths

도시 내 공원 및 녹지 접근성 평가

공원사막지수를 통해 도시 내 공원 및 녹지 공간의 접근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형평성 증진

인구 구성과 경제적 요인을 고려한 사회적 형평성 점수 산출로 공원 이용의 공평성을 증진시킵니다.

기계학습을 활용한 자동 계산 및 시각화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점수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결과를 시각화하여 문제 지역을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Weaknesses

데이터의 정확성 및 신뢰성 문제

공원사막지수 산출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결과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기술적 복잡성

지리정보시스템(GIS),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 등 최신 기술의 활용은 기술적 복잡성을 증가시킵니다.

Opportunities

도시 계획 및 정책 결정에의 기여

공원사막지수를 활용하여 도시 계획가와 정책 결정자에게 공원 및 녹지의 접근성과 분포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참여 활성화

플랫폼과 도구 개발을 통해 시민들이 공원과 녹지 공간 확대를 위한 의견을 제시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Threats

기존 도시 계획 및 정책과의 충돌

기존의 도시 계획 및 정책과의 충돌로 인해 새로운 접근 방식의 채택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기술 접근성의 불평등

기술적 접근성의 불평등으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이 기술의 혜택을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Summary

Strengths

도시 내 공원 및 녹지 공간의 접근성과 사회적 형평성을 평가하고, 기계학습을 활용한 자동 계산 및 시각화로 문제 지역을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Weaknesses

데이터의 정확성 및 신뢰성 문제와 기술적 복잡성이 존재합니다.

Opportunities

도시 계획 및 정책 결정에 기여하고, 지역사회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Threats

기존 도시 계획 및 정책과의 충돌과 기술 접근성의 불평등이 존재합니다.

대표도면

기술이전 담당자 연락처

담당자명: 이미정 계장
부서: 기술사업화팀
전화번호: 032-835-9766
이메일: mijung@inu.ac.kr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21999)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27(송도동) INU이노베이션센터 202호
본 메일은 마케팅 활용 동의서에 동의하신 회원님께 전송된 것입니다.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발송되는 메일을 더 이상 받아보기 원하지 않으시면, [수신거부]를 클릭해주세요.
COPYRIGHT (c) 2023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